맨위로가기

압둘 살람 아리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둘 살람 아리프는 이라크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58년 7월 14일 혁명에 참여하여 하시미트 왕조를 무너뜨리는 데 기여했다. 그는 부총리, 내무장관 등을 역임했지만, 범아랍주의 노선으로 인해 압둘 카림 카심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한동안 투옥되었다. 이후 1963년 바트당의 라마단 혁명 이후 대통령에 취임하여 이집트와의 통합을 추진했지만, 1966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랍 사회주의 연합을 결성하고 이집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이라크의 인프라 개발에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혁명가 - 모하마드 바키르 알하킴
    모하마드 바키르 알하킴은 이라크의 시아파 성직자이자 정치가로, 사담 후세인 정권에 저항하며 SCIRI를 결성하여 반정부 활동을 펼쳤으나 2003년 이라크에서 암살당했다.
  • 이라크의 사회주의자 - 압드 알아르라만 알바자즈
    이라크 최초의 민간인 총리였던 압드 알아르라만 알바자즈는 법학자, 외교관, 작가이자 범아랍주의와 아랍 민족주의를 지지했던 정치가로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쿠르드족 관계 개선 시도, 아랍 문화 연구 및 저서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이라크의 사회주의자 - 압둘라흐만 아리프
    압둘라흐만 아리프는 이라크 군인으로 혁명에 참여하고 육군 참모총장을 거쳐 형의 사망 후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이라크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바트당 쿠데타로 축출되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불안정을 겪다 사담 후세인 집권 후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 이라크의 군인 - 살라흐 아부드 마흐무드
    살라흐 아부드 마흐무드는 이라크의 군인 및 정치인으로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전에 참전했으며, 이라크 제3군단 사령관과 디카르주 주지사를 역임했고 2024년에 사망했다.
  • 이라크의 군인 - 아드난 카이랄라
    아드난 카이랄라는 이라크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국방장관,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이라크 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압둘 살람 아리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압둘 살람 아리프
로마자 표기'Abd al-Salam Muhammad 'Arif al-Jumayli
아랍어 표기عبد السلام محمد عارف الجميلي
직위
직책대통령
대수2대
임기 시작1963년 2월 8일
임기 종료1966년 4월 13일
이전 대통령무함마드 나지브 아르루바이
다음 대통령압둘 라만 아리프
총리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
타히르 야흐야
아리프 압드 아르라자크
압드 아르라만 알바자즈
개인 정보
출생일1921년 3월 21일
출생지바그다드, 영국 위임통치령 메소포타미아
사망일1966년 4월 13일
사망지바스라 주, 이라크 공화국
사망 원인비행기 추락
국적이라크인
군사 정보
소속이라크군
계급대령
참전제1차 중동 전쟁
7월 14일 혁명
정치 정보
정당아랍 사회주의 연합
기타 정보
출생지 (원어)بغداد
국적 (원어)عراقي
이름 (원어)عبد السلام عارف
이름 (아랍어)عبد السلام محمد عارف الجميلي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2. 1.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참전

3. 1958년 7월 14일 혁명과 카심과의 갈등

압둘 살람 아리프는 압둘 카림 카심과 함께 이라크 자유장교단의 일원이었다. 아리프는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예닌을 점령하는 등의 활약을 했다.[2] 1958년 여름, 아리프는 누리 알 사이드 총리의 명령에 따라 이라크군을 이끌고 요르단 지원에 나서는 대신 바그다드로 진군, 쿠데타를 일으켜 하시미트 왕조를 무너뜨렸다.[2][12] 혁명 후 카심이 총리로 취임하면서 아리프는 부총리, 내무장관, 국방군 부사령관에 임명되었다.[2]

그러나 범아랍주의자였던 아리프는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이끄는 아랍 연합 공화국과의 연합을 지지한 반면, 이라크 공산당의 지지를 받던 이라크 민족주의자 카심은 이에 반대했다. 이로 인해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결국 카심이 승리하여 아리프는 1958년 9월 12일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2][13] 그는 대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거부하고 바그다드로 돌아왔다가 1958년 11월 4일 국가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1959년 2월 사형을 선고받았다.[2][13] 이후 1961년 11월 카심에 의해 석방되었다.[3][13]

3. 1. 범아랍주의와 나세르주의

3. 2. 카심과의 권력 투쟁

압둘 살람 아리프는 압둘 카림 카심과 함께 이라크 자유장교단의 일원이었다. 1958년 여름, 아리프는 쿠데타를 일으켜 하시미트 왕조를 타도했다.[2] 카심은 새 공화국 정부를 구성했고, 아리프는 부총리, 내무장관, 국방군 부사령관에 임명되었다.[2]

그러나 곧 범아랍주의자 아리프와 이라크 민족주의자 카심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2] 아리프는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이끄는 아랍 연합 공화국(UAR)과의 연합을 지지했지만, 카심은 반대했다.[2] 두 지도자는 권력 투쟁을 벌였고, 카심이 승리하여 아리프는 9월 12일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2] 그는 대사로 임명되었으나 거부했고, 11월 4일 바그다드로 돌아온 후 국가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1959년 2월 사형을 선고받았다.[2] 카심은 1961년 11월 그를 석방했다.[3]

4. 이라크 대통령

1963년 2월 8일, 바아스당과 군부, 기타 범아랍주의 단체들의 연합은 라마단 혁명을 일으켜 카심 정권을 무너뜨렸다. 카심은 즉결재판을 거쳐 처형되었다. 아리프는 쿠데타 성공 이전에 이라크 혁명 지도 평의회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쿠데타 성공 후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에 취임했다.[13]

1964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린 1964년 아랍연맹 정상회담에 참석한 아랍 지도자들. 왼쪽부터 요르단의 후세인, 가말 압델 나세르, 아리프, 하비브 부르기바, 모로코의 하산 2세


대통령 취임 후, 실권은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바아스당 총리가 장악했다. 그러나 바아스당 내부 갈등이 심화되자, 아리프는 1963년 11월 군부와 나세르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바아스당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 쿠데타로 좌파 나세르주의 그룹이 축출되었고, 바아스당 민족방위대 민병 본부가 폭격당했으며, 알 바크르 총리 등이 체포되었다. 아리프는 나세르주의 장교들과 기술관료들을 중심으로 새 내각을 구성했지만, 일부 바아스당원들도 포함시켰다. 그는 대통령직을 유지하며 자신을 참모총장에 임명했고, 한 달 후 형인 압둘 라흐만 아리프 장군에게 참모총장직을, 타히르 야히야 중장에게 총리직을 넘겼다.[5][14] 1964년 가을, 바아스당은 아리프를 축출하려 했지만, 음모가 발각되어 사담 후세인을 포함한 관련자들이 체포되었다.[6]

1964년 5월 26일, 아리프는 이집트와 공동 대통령 평의회를 수립했다. 7월 14일 혁명 기념일에는 이라크의 아랍 사회주의 연합(ASU) 설립을 선포하고, "아랍 사회주의하에 아랍 민족의 통일 건설의 시작"이라고 칭송했다. ASU는 이집트의 ASU와 구조가 거의 동일했으며,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많은 아랍 민족주의 정당들이 해산되고 ASU에 흡수되었다.[5][14] 또한, 모든 은행과 30개 이상의 주요 이라크 기업이 국유화되었다. 아리프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이라크를 이집트에 더욱 가깝게 하여 통일을 촉진하려 했고, 12월 20일 통합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1965년 7월, 나세르주의 장관들이 이라크 내각에서 사임하면서 통합은 난관에 부딪혔다.[7][15] 이후 아리프는 인프라 정비 등 이라크 국가 기반시설 개발에 힘을 쏟았다.[16]

4. 1. 바트당과의 갈등 및 권력 강화

1963년 2월 8일, 바아스당과 군부, 기타 범아랍주의 단체들의 연합은 라마단 혁명을 일으켜 카심 정권을 무너뜨렸다. 카심은 즉결재판을 거쳐 처형되었다. 아리프는 쿠데타 성공 이전에 이라크 혁명 지도 평의회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쿠데타 성공 후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에 취임했다.[13]

대통령 취임 후, 실권은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 바아스당 총리가 장악했다. 그러나 바아스당 내부 갈등이 심화되자, 아리프는 1963년 11월 군부와 나세르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바아스당에 대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 쿠데타로 좌파 나세르주의 그룹이 축출되었고, 바아스당 민족방위대 민병 본부가 폭격당했으며, 알 바크르 총리 등이 체포되었다. 아리프는 나세르주의 장교들과 기술관료들을 중심으로 새 내각을 구성했지만, 일부 바아스당원들도 포함시켰다. 그는 대통령직을 유지하며 자신을 참모총장에 임명했고, 한 달 후 형인 압둘 라흐만 아리프 장군에게 참모총장직을, 타히르 야히야 중장에게 총리직을 넘겼다.[5][14] 1964년 가을, 바아스당은 아리프를 축출하려 했지만, 음모가 발각되어 사담 후세인을 포함한 관련자들이 체포되었다.[6]

1964년 5월 26일, 아리프는 이집트와 공동 대통령 평의회를 수립했다. 7월 14일 혁명 기념일에는 이라크의 아랍 사회주의 연합(ASU) 설립을 선포하고, "아랍 사회주의하에 아랍 민족의 통일 건설의 시작"이라고 칭송했다. ASU는 이집트의 ASU와 구조가 거의 동일했으며,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많은 아랍 민족주의 정당들이 해산되고 ASU에 흡수되었다.[5][14] 또한, 모든 은행과 30개 이상의 주요 이라크 기업이 국유화되었다. 아리프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이라크를 이집트에 더욱 가깝게 하여 통일을 촉진하려 했고, 12월 20일 통합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1965년 7월, 나세르주의 장관들이 이라크 내각에서 사임하면서 통합은 난관에 부딪혔다.[7][15] 이후 아리프는 인프라 정비 등 이라크 국가 기반시설 개발에 힘을 쏟았다.[16]

4. 2. 이집트와의 관계

1964년 5월 26일, 아리프는 이집트와 공동 대통령 평의회를 설립했다. 1964년 7월 14일 혁명 기념일에는 이라크식 아랍 사회주의 연합(ASU)을 결성하고, “아랍 사회주의에 기반한 아랍 국가의 통일”을 내세웠다. 이것은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끌던 이집트의 ASU와 구조가 거의 동일했으며,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많은 범아랍주의 세력을 통합했다.[14] 또한 이집트와의 통합을 고려하여 모든 은행과 30개가 넘는 산업을 국유화했고, 1964년 12월 20일에는 통합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1965년 7월이 되자 나세르주의 장관들이 잇따라 사임했고,[15] 아리프도 인프라 정비 등 이라크 국가 기반 구축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16]

4. 2. 1. 아랍 사회주의 연합(ASU) 창설

1964년 5월 26일 아리프는 이집트와 공동 대통령 평의회를 수립했다. 7월 14일 혁명 기념일에 그는 이라크의 아랍 사회주의 연합(ASU) 설립을 선포하고, 이를 "아랍 사회주의하에 아랍 민족의 통일 건설의 시작"이라고 칭찬했다.[5] 이것은 나세르가 이끌던 이집트의 ASU와 구조가 거의 동일했으며,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많은 아랍 민족주의 정당들이 해산되고 ASU에 흡수되었다.[5] 또한 모든 은행과 30개 이상의 주요 이라크 기업이 국유화되었다. 아리프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이라크를 이집트에 더욱 가깝게 하여 통일을 촉진하려고 노력했고, 12월 20일 통합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5년 7월 나세르주의 장관들이 이라크 내각에서 사임했다.[7]

4. 2. 2. 경제 정책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모두 비어있어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섹션 내용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4. 3. 사망

1966년 4월 13일, 아리프는 이라크 남부 바스라 공항에서 약 10km 떨어진 곳에서 이라크 공군 소속 드 해빌랜드 DH.104 도브(de Havilland DH.104 Dove 1), RF392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였고,[7][9] 그의 형인 압둘 라흐만 아리프가 대통령직을 계승하였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아리프는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압드 알-라흐만 알-바자즈(Abd al-Rahman al-Bazzaz)가 3일간 권한대행 대통령직을 수행하였고, 이후 대통령직을 둘러싼 권력 투쟁이 발생하였다. 알-바자즈는 대통령직 승계에 필요한 3분의 2 이상의 득표를 얻지 못했고, 압둘 라흐만 아리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군 장교들은 압둘 라흐만 아리프를 그의 형보다 더 약하고 조종하기 쉬운 인물로 여겼다.[10] 사고 원인은 이라크 군 내 바스당파의 사보타주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17]

5. 가족

2004년 12월 13일, 아리프의 딸 사나 압둘 살람(아랍어: Sana Abdul Salam, 사나 아브드살람 아리프/سناء عبد السلامar)과 그의 남편 와미스 압둘 라작 사이드 알카디리(아랍어: Wamith Abdul Razzak Said Alkadiry, 와미스 압둘 라작 사이드 알카디리/وميض عبد الرزاق سعيد القادريar)는 바그다드 자택에서 신원 미상의 괴한들에게 총에 맞아 사망했다.[11][18] 그들의 22세 아들 라팔 알카디리(아랍어: Rafal Alkadiry, 라팔 알카디리/رافال القادريar)는 납치되었고[11] 이후 살해되었다.[11][18]

6. 평가 및 유산

wikitable

압둘 살람 무함마드 아리프/عبد السلام محمد عارفar에 대한 평가
150px긍정적 평가부정적 평가
유산
150px아리프는 1966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지만, 그의 정책과 이념은 이후 이라크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바트당 정권 하에서 아리프의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화되었다. 그의 사망 이후 이라크에서는 그를 기리는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6.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서적 Iraq's Armed Forces: An Analy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4-12-12
[2] 서적 1991
[3] 서적 1991
[4] 서적 2006
[5] 서적 1991
[6] 서적 1990
[7] 서적 1991
[8] 서적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incident http://aviation-safe[...]
[10] 서적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뉴스 Iraqi voter registration site attacked http://www.cnn.com/2[...] CNN 2004-12-18
[12] 서적 1991
[13] 서적 1991
[14] 서적 1991
[15] 서적 1991
[16] 서적 A History of Iraq
[17] 뉴스 Abdel-Rahman Aref, 91, Former Iraqi President, Is Dea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8-25
[18] 뉴스 Iraqi voter registration site attacked https://edition.cnn.[...] CNN 2004-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